PNF의 정의
◆ Proprioceptive (고유수용성)
- 신체의 운동과 위치에 관련된 기관에서 정보를 수용하는 감각수용기의 일종
◆ Neuromuscular (신경근)
- 신경과 근육들을 포함
◆ Facilitation (촉진)
- 더 쉽게 되도록 한다
PNF의 특성
◆ 상호신경지배와 억제(Resiprocal Innervation & Inhibition)와 방사(Irradiation)를 이용
↓
◆ 대단위 근 은동패턴(Mess Movement Patterns)의 인식과 구체화
◆ Spiral(나선)과 대각선(Diagonal) 운동패턴의 특성을 구체화
PNF의 기본 철학과 원칙
◆ 장애인들을 포함하여 모든 인간은 미개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철학에서 PNF 출발.
◆ PNF는 항상긍정적 방법을 사용한다. 즉 신체적, 심리적 양면에 있어 환자가 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강화한다.
◆ PNF는 환자가 가능한 최고의 기능을 갖도록 돕는다.
◆ PNF는 통합적 접근법치료다. 신체의 일부분을 국한하지 않고 전체적 통합을 도모한다.
PNF의 적용
◆ PNF란 환자의 기능적 요구에 근접한 상대적 형태의 촉집법을 이요한 1:1 운동치료기법
◆ PNF란 발단결함, 외상, 신경계 또는 근골격계 손상등으로 인해서 반응이 제한되어 적절히 반응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
◆ PNF란 중추신경계질환, 정형회과적 질환, 내과적 질환 등을 포함한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.
Muscle & Joint Recrptor
◆ Stretch Receptor
◆ Muscle Spindle
- Muscle속에 있는 고유수용기로 Group la Fiber와 감마 Motor Neuron이 연결되어 있고 Tension증가에 따라 활성화되어 CNS에 근길이의 정보제공 (과도한 근 신장 억제)
◆ Golgi Tendon Organ
- Tendon에 있는 고유 수용기로 Group lb Fiber와 연결되어 있으며 Muscle에서 발휘된 Tension에 관한 정보를 Feedback을 통해 중추신경계에 제공 (과도한 근 수축 억제)
Basic Procedures for Facilitation
◆ 저항 (Resistance)
◆ 방사와 강화 (Irradiation & Reinforcement)
◆ 맨손접촉 (Manual Contact)
◆ 체위와 자세역학 (Body Position & Body Mechanics)
◆ 구두지시 (Verbal Command)
◆ 시각자극 (Visiual Stimulus)
◆ 견인과 압축 (Traction & Approximation)
◆ 신장 (Stretch)
◆ 타이밍 (Timing)
저항 (Resistance)
◆ 근육의 수축능력와 운동저절의 증가
◆ 운동방향에 대한 인식 습득
◆ 근력증진
방사와 강화 (Irradiation & Reinforcement)
◆ 적절하게 적용된 저항은 방사와 강화를 일으킨다.
◆ 방사 (Irradiation)
- 자극의 세기, 횟수 증가시 일어나는 반응 증대
- 협동근과 운동패턴에 대해 촉진(수축) 혹은 억제(이완)을 촉진시키는 것
- Kabat(1961) : 운동에 대한 저항은 방사를 일으키고, 특정 패턴에서 근 활동의 확산을 일으킴.
◆ 강화 (Reinfornement)
-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유도되거나 패턴 내에 일어날 수 있음.
- 강한 근육에 저항을 주거 약한 근육의 강화를 유도
맨손접촉 (Manual Contant)
◆ 환자의 피부수용기와 다른 압력 수용기를 자극시킨다.
◆ 시술자의 손은 운동방향과 반대되는 압력작용
◆ Lumbrical Grip
- 운동을 조절하고 회전에 저항
- 중수지절관절(MCP)을 굴곡시킨
- 큰 압력이 없으므로 통증 유발없이 운동조절 가능
체위와 자세 역학 (Body Position & Body Mechanics)
◆ 시술자의 위치는 원하는 운동이나 힘과 동일 선상에 있을 때 환자 운동에 효과적
◆ 시술자가 위치를 옮김에 따라 저항의 방향이 바뀌고, 그 저항에 따라 환자의 동작이 변함
◆ 저항은 체중을 사용
- 시술자의 손과 팔이 이완
- 피로감 없이 오래 저항 지속
- 환자의 반응을 느낌
구두지시 (Verbal Commands)
◆ 환자에게 무엇을, 언제, 어떻게 하는지 전달
- 지시는 간결하고, 집약적으로 함
◆ 지시의 타이밍(Timing)
- 운동과 근수축의 시작 유도, 신장반사시 중요
◆ 구두지시의 음량 : 근 수축 강도에 영향
- 큰소리는 강력한 수축 기대, 부드럽고 조용한 목소리는 이오나이나 통증감소를 원할 때 실시
- 예비명령 : 움직임을 위한 심리적 준비
- 행동명령 : 짧고 명확하게 하여 즉각 행동이 일어나게 함
- 교정 명령 : 동작을 수정 또는 교정
시각자극 (Visual Stimulus)
◆ 시각은 운동이 일어나는 머리와 체간의 조화촉진, 움직임 유발
◆ 체위, 동작을 교정하거나 조절할 때 이용
◆ 시각적 자극으로부터 Feedback은 운동신경의 흥분 증가로 강한 근 수축 유발
◆ 시각은 동작을 리드하며 운동방향을 깨닫게 함
PNF Technique의 Goals
◆ 구심성, 원심성, 정적 근 수축 사용 → 근육군의 촉진, 억제 → 방사, 강화, 이완을 통해 → 기능적 운동 증진
◆ 1. To strengthen trunk musculature
◆ 2. To strengthen or reinforce extremity musculature
◆ 3. To promote movement that is limited by pain
◆ 4. To enhance functional activities
◆ 5. To promote a balance of tone
PNF시 U/E Pattern (상지패턴1)
◆ D1 Flexion (D1F)
- Shoulder : Flex, Add, Ext. Rot
- Forearm : Sup
- Wrist : Radial Flex
- Finger : Flex
◆ D1 Extension (D1E)
- Shoulder : Ext, Abd, Int. Rot
- Forearm : Pron
- Wrist : Ulnar Ext
- Finger : Ext
PNF시 U/E Pattern (상지패턴2)
◆ D2 Flexion (D2F)
- Shoulder : Flex, Adb, Ext. Rot
- Forearm : Sup
- Wrist : Radial Ext
- Finger : Ext
◆ D2 Extension (D2E)
- Shoulder : Ext, Add, Int. Rot
- Forearm : Pron
- Wrist : Ulnar Ext
- Finger : Flex
PFN시 L/E Pattern (하지패턴1)
◆ D1 Flexion (D1F)
- Hip : Flex, Add, Ext. Rot
- Pelvio : Protraotion
- Knee : Ext
- Foor : Inver, Dorsiflex
◆ D1 Extension (D1E)
- Hip : Ext. Abd, Int. Rot
- Pelvio : Retraotion
- Knee : Ext
- Foot : Ever, Plantarflex
PFN시 L/E Pattern (하지패턴2)
◆ D1 Flexion (D1F)
- Hip : Flex, Abd, Int. Rot
- Pelvio : Elevation
- Knee : Ext
- Foor : Ever, Dorsiflex
◆ D1 Extension (D1E)
- Hip : Ext. Add, Ext. Rot
- Pelvio : Depression
- Knee : Ext
- Foot : Inver, Plantarflex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7 | 휴대폰 위치추적이 가능한 시스템.. 1 | qeem | 2013.12.12 | 2557 |
6 | 부모나래 | mstone | 2014.01.22 | 2155 |
5 | 꿈 1 | mstone | 2014.01.24 | 3726 |
4 | 시골의사 박경철님의 강연내용 | mstone | 2014.02.03 | 1829 |
» | P.N.F 정리 3 | mstone | 2014.03.27 | 16121 |
2 | verbal에 대해 토론 원합니다. | mstone | 2014.03.27 | 2877 |
1 | 비광 그림의 숨겨진 이야기 | mstone | 2017.04.11 | 3290 |
◆ 환자에게 무엇을, 언제, 어떻게 하는지 전달
- 지시는 간결하고, 집약적으로 함
◆ 지시의 타이밍(Timing)
- 운동과 근수축의 시작 유도, 신장반사시 중요
◆ 구두지시의 음량 : 근 수축 강도에 영향
- 큰소리는 강력한 수축 기대, 부드럽고 조용한 목소리는 이오나이나 통증감소를 원할 때 실시
- 예비명령 : 움직임을 위한 심리적 준비
- 행동명령 : 짧고 명확하게 하여 즉각 행동이 일어나게 함
- 교정 명령 : 동작을 수정 또는 교정
제 고민이며 여러분께 질문합니다.
환자에게 구두명령을 따라하게 해본신분 계신가요?
사람이 소리를 지를때 core muscle에 자연스럽게 힘이 들어갑니다.
그래서 무거운 물건을 들때 소리를 지르면 훨씬 더 안정적으로 더 무거운 무게를 들수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.
이글 보시는 분 같이 토론해보자구요..^^;;